트위치 파트너 스트리머 32

김뚜띠(트위치 스트리머)에 대해알아보자

아프리카TV시절 램램TV 소속 멤버, 현재는 트위치 파트너 종합 게임 스트리머이자 픽셀네트워크 소속 크리에이터이다. 유튜브를 운영하고 있고 과거에는 종합 게임에서 마인크래프트 컨텐츠 영상을 올렸으며, 현재는 트위치 방송 편집 영상이 올라간다. 21년 9월 다시보기 채널도 활성화 하였다. 방송은 정해진 휴방일 없이 랜덤으로 켜진다. 방송 공지는 네이버 카페가 개설되어 있어, '딩두딩두' 카페에 가입하면 방송 알림을 받을 수 있다. 주로 방송 중 구두로 이야기 한다. 방송을 보고 싶다면 트위치 방송 팔로우를 한 후 알림을 설정해놓는 게 좋다. 김뚜띠 방송 규칙 주요 밴사유는 주접[]과 훈수이다. 2018년 이후 각종 밈과 시청자 유입으로 주접떠는 시청자들이 과하게 늘어나면서 밴 사유로 자리잡았으며 스트리머 ..

스트리머 2023.08.15

김도(트위치 스트리머)에 대해알아보자

트위치에서 방송을 하는 스트리머. 스트리머를 하기 전에는 게임 개발자(EA 팀장), 일러스트레이터, 만화가 등 다양한 활동을 하였다. 디시인사이드의 와갤, 롤갤, 고갤, 확갤[], 언갤 등지에서 김치도살자라는 닉네임으로 활동했다. 본인이 직접 밝힌 바에 의하면 리그 오브 레전드가 북미 서버만 존재할 당시 만들었던 닉네임 "Kimchi Butcher"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한다. 즉, "김치도 살자"가 아니라 Kimchi Butcher, "김치 도살자"이다. 그런데 이 이름 때문에 자꾸 일베충으로 오해를 사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고[], 결국 이름을 김도로 바꾸게 되었다고. 이제 더 이상 공식적으로 "김치도살자"라는 이름은 사용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한때는 김치 도살자의 약칭이 아니고 영미권에서 익명을..

스트리머 2023.08.14

김달걀(트위치 스트리머)에 대해알아보자

트위치와 유튜브에서 활동하고 있는 종합 스트리머이다. 리그 오브 레전드를 같이 할 사람을 구하기 위해 취미로 아프리카TV에서 방송을 시작하였고 이후 전업 스트리머로 전향, 2017년 후반 트위치로 이적하여 현재까지 방송을 진행하고 있다. 저스트 채팅과 종합 게임이 메인 컨텐츠이고, 비정기적으로 쿡방이나 노래방, 술먹방 등도 진행하고 있다. 닉네임이 김달걀인 이유는 단순히 달걀을 좋아해서이고, 자신의 성과 달걀을 합쳐 만들었다. 방송을 직업으로 삼을 줄 몰랐기 때문에 대충 지었다고 한다. 김달걀 특징 트위치에서 개인방송을 진행하고 있고, 오후 5시에 시작하여 평균 8~9시간의 방송을 진행한다[8]. 정기휴방은 월요일, 목요일이다. 일정 변경이 있는 경우 팬카페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컨텐츠는 공식적으로 정해..

스트리머 2023.08.13

남봉(트위치 스트리머)에 대해알아보자

악어 방송의 고정 멤버[]이자 트위치 스트리머이다. 원래 김남순으로 활동하였으나, 늪지대 크루의 아프리카TV로의 이동으로 아프리카 BJ 남순과 닉네임이 겹쳐 2018년 7월 28일부터 남봉으로 활동을 하기 시작하였다.[] 8월 6일에 종족전쟁 시즌2 건축방송으로 아프리카TV 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했으나 2020년 다시 트위치로 이적했으며, 현재는 약 15만의 팔로워를 보유중이다. 마인크래프트 실력은 매니저로 들어오기 전의 종족전쟁을 보면 일반 시민 수준에 그쳤으나 마크에이지 3에서는 장족의 발전이라 불릴 만큼 엄청난 컨트롤을 보여주었으며 후반에도 시민의 한계만 아니었어도 개척자를 죽일 수 있는 시민으로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그 후 매니저와 운영자 자리에서 오래동안 있기 시작한 후부터는 특집을 제외하고는..

스트리머 2023.06.27

김나성(트위치 스트리머)에 대해알아보자

트위치 스트리머. 2015년 12월 다음팟에서 방송을 시작했다. 다키스트 던전 및 스팀 게임(FTL, 엔터 더 건전)을 주로 플레이하며, 트위치 스트리머들이 참여하는 큰 행사방송이나 '트CC' '팬아트 공모전' '천하제일 총굴대회' 등 시청자 참여형 대회도 기획, 진행을 하고 있다. 트위치 코리아에서도 근무한 경력이 있다. 본래 tv팟 PD였던 갓보기의 영상 편집자로 활동하던 팟수로, 갓보기가 트위치로 이적한 후 슬그머니 방송을 시작하였다.[] 그래서인지 방송 스타일도 비슷한 편. 다른 tv팟 PD들과의 교류도 많은 편이며, 대표적으로 아제닉스, 갓보기, 이선생 등이 있다. 트위치 이적 후엔 여까, DrAquinas, 알버트 킴, 쿠타르크, 임바다 등과 주로 교류하고 있다. 주로 저녁부터 다음 날 새벽까..

스트리머 2023.06.26

기열킹(트위치 스트리머)에 대해알아보자

코미디언 김기열이 아닌 인터넷 방송을 하는 김기열을 서술하는 문서 개인 방송을 하기 전에는 양선일, 양상국, 정해철 등 동료 개그맨들과 함께 가짜티비링크로 인터넷 방송을 시작하였다. 이후 트위치와 카카오TV, 유튜브에서 개인방송을 시작했으며, 현재는 트위치에서 개인방송을 하고 있다. 매일 저녁 8시쯤 방송을 시작하며, 개인 스케줄 등으로 인해서 휴방을 할 경우 방송 중 공지하거나 당일 개인 스케줄 현장에서 즉석으로 휴방 공지를 올린다. 주로 게임 방송을 컨텐츠로 하며 유튜브에는 가끔씩 일상 생활이나 먹방 등의 동영상이 업로드 된다. 참고로 기열킹(kiyulking)이라는 아이디는 예전부터 본인이 쓰던 아이디이다. 이 아이디로 소심지존 기열킹이라는 코너까지 했다.코너 생명이 짧았던 건 안 비밀 일단 인방에..

스트리머 2023.06.25

김규식(트위치 스트리머)에 대해알아보자

트위치에서 종합 게임, 저스트 채팅 방송을 하는 스트리머 겸 유튜버다. 방송 시간은 정해져 있지 않다. 한다고 하더라도 주로 1시간 정도만 짧게 하고 방종하는 편이다. 2020년 후반 들어 방송과 유튜브 활동을 열심히 하고 있다. 하지만 가끔 보면 방종하려고 방송하는 것 같다 2021년 10월, 유튜브 휴식기를 선언했다. 본인이 보기에 재미없는 영상임에도 수익 목적으로 어거지로 올리는 것 때문에 유튜브 운영에 흥미를 잃었다고. 이후 2022년 1월부터 다시 영상을 올리기 시작하였다. 다만 복귀를 했음에도 여전히 본인이 재밌다고 생각하는 영상만 올리는 방식으로 가고 있는지 영상이 올라오는 텀이 길어지고 있는 중이며 2022년 7월 기준 영상이 올라오지 않은지 1달을 넘기고 있다. 그리고 2022년 8월 말..

스트리머 2023.06.24

김갑주(트위치 스트리머)에 대해알아보자

대한민국의 트위치 스트리머. 방송 시작 시간은 대개 저녁 6시~7시 쯤이고 캠을 키지 않더라도 약속한 시간대에 방송을 킨다. 보통 방송을 시작하면 Just Chatting으로 일정 시간 시청자들과 소통을 한 후, 롤을 하다 방송을 종료한다. 트위치 플랫폼에 유저 휴대폰 본인인증이 생기고 난 2021년 10월 말, 할로윈 캣츠우먼 코스프레와 어느정도 노출도가 있는 의상들을 자주 입다 보니 Just Chatting의 시청자 비율이 높아졌고, 그로 인해 롤 방송을 하는 횟수가 매우 줄었다. 신생 웹화보 업체인 에스파시아 코리아와 일회성 화보 촬영 계약을 함과 동시에, 그동안 롤 방송 진행 시 받던 스트레스를 호소하며 방송 방향을 변경하고 싶었다는 속마음을 밝혔다. 그 후 웹화보 및 웹화보 업체의 홍보를 병행하..

스트리머 2023.06.23

기무기훈(트위치 스트리머)에 대해알아보자

하스스톤 스트리머 겸 해설자. 갓보기, 김나성, 태상이 속해 있는 노잼져스의 일원이다. 빠른 1993년생[3]이며, 레니아워와 동갑이다. 방송 초창기 때에는 다음팟, 아프리카TV, 트위치 세 플랫폼에서 동시송출을 진행하고 있었지만 2016년 4월 20일 아프리카TV로 독점 송출을 했고, 뒤이어 2017년 7월 17일 아프리카TV와의 계약 종료로 인해 다시 트위치에서 방송을 하고 있다. 유튜브 채널의 경우 주로 트위치에서 방송한 내용들의 하이라이트 영상이다. 유튜브 편집자는 스트리머 출신인 퍼뜩이다. 퍼뜩은 스트리머 출신이라 그런지 한번 기무기훈 유튜브를 통해 캠을 키고 시청자들과 인사한 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플러리(로겨)의 유튜브 영상도 편집을 맡고 있다. 기무기훈은 2018년 11월에 트위치에서 데..

스트리머 2023.06.20

금휘(트위치 스트리머)에 대해알아보자

트위치에서 활동하는 여성 인터넷 방송 스트리머이다. 주변 지인들[]의 권유로 방송을 시작하게 되었다 금휘 방송 특징 의외로 선이 옅은 편에 속하는 방송 분위기를 가지고 있다. 다른 방송에서도 통용되는 기본적인 규칙을 제외하고는 특별히 지켜야하는 규칙은 없는 편이다. 다만 내로남불이 심한 스트리머의 방송 특성상 선을 넘으면 밴이다. 채팅 반응을 보면 의식이 흐르는 대로 말하는 걸 아주 좋아하며 간혹 채팅 속도가 너무 빨라지면 못 읽고 넘어가는 경우가 있다.[] 다만 2022년 현재는 번듯한 중견기업이 되며 채팅이 많아져 못 읽고 넘어가는 채팅이 많다며 이해해달라 말하기도 했다. 한 사람이 겪었다고 믿기 어려울 만큼 꿀잼썰이 많은 편이다. 예를 들어 편의점에 갔는데 바지를 안 입고 간다던가, 웃다가 주사를 ..

스트리머 2023.06.19